본문 바로가기
디지털디톡스

좋아요 수 없는 하루 — 기술 없이 진짜 감정 마주하기

by 써니힐링 2025. 3. 17.

◎ 우리는 왜 '좋아요'에 집착할까?

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우리는 SNS부터 확인한다.
인스타그램에서 내가 올린 사진에 몇 개의 '좋아요'가 눌렸는지,
유튜브 영상에 얼마나 많은 조회수가 올라갔는지,
틱톡에서 내 영상이 얼마나 퍼졌는지를 확인하며 하루를 시작한다.
이것이 이제는 너무나 당연한 일상이 되었다.

우리는 하루 평균 5시간 30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며,
SNS에서 끊임없이 좋아요, 댓글, 공유 수를 확인한다.
그 숫자들이 우리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어버린 것이다.
만약 '좋아요'를 확인할 수 없다면, 우리는 어떤 기분이 들까?
과연 우리는 외부의 반응 없이도 행복할 수 있을까?

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나는 24시간 동안 기술 없이 살아보기를 실천해 보기로 했다.
SNS를 끄고, 좋아요 수를 확인하지 않고, 오직 나의 감정과 마주하는 하루를 보내보기로 했다.
과연 이 실험이 나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왔을까?
지금부터 좋아요 수 없는 하루, 기술 없이 진짜 감정 마주하기의 기록을 공유하려 한다.

 

◎ SNS OFF, 진짜 감정 ON — 기술 없는 하루의 시작

좋아요 없는 하루를 보내기 위한 첫 번째 단계모든 SNS 계정을 로그아웃하는 것이었다.
나는 먼저 스마트폰에서 인스타그램, 유튜브, 페이스북, 틱톡, 카카오톡의 알림을 모두 차단했다.
그리고 노트북에서도 SNS 로그아웃을 완료하고, TV도 켜지 않기로 했다.
그 순간, 예상치 못한 불안감이 밀려왔다.

"혹시 내가 올린 게시물에 달린 댓글을 확인하지 못하면 어쩌지?"
"친구들이 나에게 메시지를 보냈는데, 내가 답장하지 않으면 서운해하지 않을까?"
"중요한 뉴스나 트렌드를 놓치는 건 아닐까?"

이 감정은 FOMO(Fear of Missing Out,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) 때문이었다.
우리는 항상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다.
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나는 점차 내 감정에 집중하는 법을 배우기 시작했다.

좋아요 수를 확인하지 않으니, 나는 타인의 평가에서 벗어나 온전히 나만의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.
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, 어떤 순간에 행복을 느끼는지를 진짜 감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.

좋아요 수 없는 하루 — 기술 없이 진짜 감정 마주하기

◎ 기술 없이 보내는 하루 루틴 — 나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

디지털 없는 하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.
나는 SNS와 좋아요 수 없이도 온전히 하루를 보낼 수 있는 루틴을 만들었다.
이 하루의 목표는 디지털 피드백이 아닌, 나의 감정과 시간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었다.

1) 아침 — 타인의 시선이 아닌 나만의 하루 시작하기

  • 알람 시계로 기상
  • 창밖 풍경을 바라보며 스트레칭
  • 스마트폰 없이 조용한 아침 식사
  • SNS 없이 종이 노트에 하루 계획 작성

효과: 스마트폰 없이 하루를 시작하니, 남들과 비교하지 않는 평온함이 느껴졌다.
SNS 속 다른 사람들의 일상이 아닌, 나의 아침을 온전히 즐길 수 있었다.

2) 오후 — 몰입의 시간, 진짜 감정을 마주하기

  • 이어폰 없이 산책하며 현실의 소리에 집중
  • 손글씨로 일기 쓰기 (오늘 내 감정은 어떤지 솔직하게 적기)
  • 좋아요 없는 세상에서, 내가 진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기

효과: 스마트폰 없이 산책하면서, 사람들의 표정, 나무가 흔들리는 모습, 바람의 촉감을 더욱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.
좋아요를 받기 위해 기록하던 순간이 아니라, 진짜 감정을 위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.

3) 저녁 — 좋아요가 아닌 나를 위한 감정 정리하기

  • 감정 성찰 노트 작성 (오늘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?)
  • SNS에 올리기 위한 사진이 아닌, 내 기억 속에 남길 순간을 떠올리기
  • 불 끄고 명상 10분, 하루를 온전히 정리하는 시간 갖기

효과: '이 순간을 공유해야 해!'라는 압박 없이, 순수한 감정을 즐길 수 있었다.
남들의 반응이 아닌, 내 마음이 어떻게 느꼈는지가 더 중요해졌다.

 

◎ '좋아요' 없는 하루가 내게 가르쳐 준 것들

24시간 디지털 디톡스 실천이 끝났다.
다음 날 아침, 스마트폰을 다시 켜자 수십 개의 알림이 쏟아졌다.
하지만 어제와 달리, 나는 더 이상 초조하지 않았다.

나는 깨달았다.
좋아요 수가 많다고 해서, 내 하루가 더 가치 있는 것은 아니었다.
반대로, 좋아요가 없다고 해서 내 하루가 의미 없는 것도 아니었다.

좋아요 없는 하루는 나에게 세 가지를 가르쳐 주었다.

  1. 타인의 반응이 아니라, 나의 감정을 중심에 두는 삶의 중요성
  2. SNS 속에서 인정받기 위한 삶이 아닌, 온전히 나를 위한 삶이 필요하다는 것
  3. 디지털 없이도, 나의 감정은 충분히 소중하고 가치 있다는 것

이제 나는 매주 하루, 좋아요 없는 날을 실천하기로 했다.

  • 아침 30분 SNS 없이 시작하기
  • 저녁에는 감정 성찰 노트 작성하기
  • 주말에는 스마트폰 없이 산책하기

좋아요 없는 하루가 나에게 준 가장 큰 선물은,
타인의 평가가 아니라, 나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법을 배운 것이었다.